"제주도 '제2공항 상생발전 용역', 꺼져가는 불씨 살리기 위한 무리수"
제2공항 비상도민회의 신년인사회, 상생용역 추진에 강력 경고
조류 충돌위험성 높은 제2공항 건설계획 전면 백지화해야"
제주특별자치도가 제주 제2공항 건설사업과 관련해 도민 이익과 상생발전을 목적으로 한 용역을 추진하고 있는 것에 대해 제2공항 반대단체들이 강력히 경고하고 나섰다.
제주도내 시민사회단체 등으로 구성된 '제주 제2공항 강행저지 비상도민회의'는 최근 성산읍 신산리 마을회관에서 신년하례회를 갖고, 신년사를 통해 최근 논란이 이어지고 있는 제2공항 예정지의 조류 충돌위험성과 제주도의 상생발전 용역 추진에 대한 입장을 밝혔다.
먼저 조류 충돌 위험성에 대한 조속한 검증을 촉구했다.
이들 단체는 "수많은 국민의 생명을 앗아간 무안공항 제주항공 참사는 조류충돌의 문제가 얼마나 심각한 결과를 초래하는지를 충격적으로 보여준 사건이었다"면서 "제주 제2공항과 같이 조류충돌 위험성이 높은 지역에 추진되는 공항 건설 계획을 전면 백지화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제2공항 비상도민회의 신년하례회.
조류 충돌 위험성과 관련해서는, "부실한 조사와 축소·조작된 위험성 평가 결과로도 제2공항은 제주공항 대비 조류충돌 가능성이 최대 8.3배나 높게 나타났다"며 "한국환경원 등 전문기관이 조류충돌 예방과 조류서식지 보호의 상충문제로 공항입지로 타당하지 않다는 의견을 제시했던 이유이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오영훈 지사가 제2공항 건설에 앞장서거나 방조한다면 도민의 엄중한 심판을 면치 못할 것임을 경고한다"고 밝혔다.
이들 단체는 "오영훈 지사는 조류충돌 위험성 등 전략환경영향평가에서 제기된 주요 쟁점에 대한 제주도 차원의 사전 검증 작업을 법 규정이 없다는 핑계로 거부했다"며 "법 규정이 없더라도 도정을 이끄는 오영훈 지사의 의지로 쟁점을 검증하고, 그 결과에 따라 국토교통부에 의견을 제출하는 것은 얼마든지 가능하며, 법 규정 운운은 면피의 수단일 뿐이다"고 반박했다.
또 "오 지사는 제주항공 참사로 조류충돌의 위험성에 대한 우려가 높아진 이 시점에 제2공항 연계 도민이익 및 상생발전을 위한 기본계획 수립 용역을 진행하겠다고 발표했다"면서 "윤석열 정권의 몰락과 조류충돌 참사, 항공수요 감소 등으로 점점 더 정당성을 잃어가는 상황에서 제2공항의 불씨를 살리는 바람잡이 역할을 하겠다는 뜻이냐"고 반문했다.
이어 "제2공항에 대해 도민결정권이 중요하다던 오영훈 지사는 어디로 갔나"라며 "오 지사가 갈수록 근거와 명분을 잃고 있는 제2공항 건설에 앞장서거나 방조한다면 도민의 엄중한 심판을 피할 수 없을 것"이라고 경고했다.
제주도 지역구의 국회의원와 도의회를 향해서는 제2공항 문제해결에 전면적으로 나설 것을 촉구했다.
비상도민회의 관계자들이 신년하례회를 마친 후 해안가를 찾아 조류 서식 상황을 살펴보고 있다.
성산읍 제2공항 예정지 해안가에 찾아드는 새들. (사진=제2공항 비상도민회의)
한편, 제주특별자치도는 최근 제주 제2공항 건설사업과 관련해, 도민 이익 및 상생발전을 위한 기본계획 수립 용역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2억8070억원이 소요되는 이번 용역의 목적은 크게 두 가지로 제시됐다.
하나는 공항개발로 인한 개발이익이 지역주민과 도민에게 환원될 수 있도록 공항 배후도시 조성과 이익 공유 지원체계를 마련한다는 것이다. 다른 하나는 공항 예정지를 포함해 성산읍 지역주민 의견을 수렴해 소통.참여형 상생방안을 마련한다는 것이다.
2019년 용역을 실시해 마련한 기본계획은 제2공항 주변지역 5개 마을을 대상으로 했는데, 이번에는 성산읍 전 지역인 14개 마을을 대상으로 진행한다는 계획이다.
그러나 환경영향평가 절차가 시작되는 시점에서 진행되는데다, 사실상 제2공항 건설을 전제로 한 것으로 비쳐지면서 많은 논란이 이어지고 있다. <헤드라인제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