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시민사회 제2공항 반발 이어져..."제2공항, 기후·생태·평등 위협"

제주제2공항강행저지비상도민회의(이하 비상도민회의)는 지난 5일 오후 제주도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제주도민 동의 없는 제2공항 기본계획 고시는 원천무효”라고 주장했다. (사진=양유리 기자)

제주 제2공항이 기후와 생태, 평등을 위협한다며 백지화를 촉구하는 목소리가 나왔다. 

제주여민회와 제주여성인권연대는 13일 성명을 내고 “제2공항 강행은 기후위기가 시급히 해결돼야 할 사회적 문제로 다뤄지고 있는 세계적인 흐름에 역행하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들 단체는 “기후로 인한 재난은 모든 생물종들을 위협하고 있다. 공항이 만들어지면 어마어마한 양의 탄소가 배출될 것이 뻔하다”며 “제2공항 사업은 녹지와 농지를 대규모로 없애고, 도로와 숙박·휴양시설 건설로 탄소흡수원을 더 많이 없애 재해위협을 증가시킬 것”이라고 우려했다. 

또 “올해 제주환경운동연합에서 실시한 어민면접조사에서는 해녀와 어부들은 제주 바다의 변화와 파괴가 기후위기뿐 아니라 개발로 인한 육상오염원의 바다 유입과 해양쓰레기의 영향이 크다고 증언했다”며 “제2공항 건설이라는 발전주의 개발정책은 제주도민의 삶의 터전인 바다를 파괴하면서 기후와 생태위기를 가속화할 것”이라고 비판했다. 

이어 “기후위기는 누구에게 똑같이 가닿지 않는다. 젠더·계급·연령·지역 문제 등 기존의 불평등 체제와 연동해 드러날 것”이라며 “가난한 사람들, 취약한 사람들, 흙에서 생계를 이어가는 사람들, 그리고 인간이 아닌 생명들에게 기후위기는 더욱 치명적일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제주는 이미 많은 것을 잃어가고 있다. 제주에서 이미 벌어진 수많은 건설사업들이 제주를 병들게하고 있다”며 “더 이상 제주가 자연을 잃지 않도록, 누구나 아름다운 제주에서의 좋은 삶을 꿈꿀 수 있도록 제주 제2공항 건설을 반드시 막아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제주통일청년회도 13일 성명을 통해 “제2공항은 제주도를 신냉전의 전쟁 전초기지인 공군기지가 될 것”이라며 기본계획 고시 철회를 촉구했다. 

이들은 “국방부는 1987년부터 제주에 공군기지를 건설하려는 구상을 추진했다. 1992년에는 국방부와 건교부가 민‧군 겸용 제주신공항 건설에 합의한 바도 있다”며 “제2공항이 발표된 이후인 2017년 정경두 공군참모총장은 제2공항에 공군부대를 설치할것이라고 밝혔다”고 설명했다. 

이어 “제주민군복합관광미항이라는 명분으로 강정마을 주민들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결국 건설된 제주해군기지는 제주와 한반도 평화의 거점이 아니라 전쟁의 거점이 되고 그 전초기지가 되고 말았다”며 “우리는 제주해군기지에서 제2공항의 미래를 보고 있다”고 말했다. 

또 “국토교통부는 제주도민의 의견을 존중하여 사업을 추진하고 더 나아가 도민이 환영하지 않는 사업은 추진하지 않겠다고 약속했으나 ‘제2공항 반대’라는 공론조사 결과를 수용하지 않았다”며 “제2공항 기본계획 고시를 강행하며 국토부는 제주도민의 의견은 안중에도 없었다는 것이 확인됐다”고 규탄했다. 

그러면서 “국토부의 의뢰를 받은 세계적 공항설계업체인 파리공항공단엔지니어링은 현 공항 확충만으로도 제2공항의 장래 수요까지 처리할 수 있는 가장 현실적이고 실용적인 방안이라고 권고한 용역보고서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정부와 국토부는 이를 은폐했다”며 “제2공항을 백지화하고 현 제주공항 시설을 개선하라”고 요구했다. 

더불어 “제주도민 동의 없는 제2공항 기본계획 고시는 무효”라며 “제주도를 전쟁 전초기지가 아니라 평화와 인권이 살아 숨쉬는 보물섬으로 만들기 위해 많은 제주도민들과 함께 제2공항 백지화를 위해 끝까지 투쟁할 것”이라고 밝혔다. 

Previous
Previous

돈이면 다 되는 것처럼

Next
Next

제주 농민들 “농지는 농민들의 생명“...제2공항 반대 항의서한 전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