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류 충돌’ 불안 커지는데…“국토부, 제주 제2공항 위험 은폐·축소해”
제주제2공항강행저지비상도민회의, 4일 기자회견
제주제2공항강행저지비상도민회의는 4일 오전 민주노총 제주지역본부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제주 제2공항 계획 전면 재검토를 촉구했다. ⓒ제주의소리
무안공항에서 발생한 제주항공 여객기 사고의 1차 원인이 조류 충돌로 지목되는 가운데, 국토교통부가 제주 제2공항 예정지 인근의 조류 충돌 위험을 은폐·축소하고 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제주제2공항강행저지비상도민회의는 4일 오전 민주노총 제주지역본부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국토부는 제주 제2공항 계획을 전면 재검토하라”고 촉구했다.
도민회의는 “국토부는 이번 최악의 참사에 대해 단 한번의 공식적인 사과도 없었다”며 “박상우 국토부 장관은 사퇴 의사를 밝히면서도 참사의 주된 원인으로 지목된 로컬라이저에 대해 ‘규정에 맞게 시설됐다’고 강변했다”고 비판했다.
이어 “국토부는 늘어나는 항공 수요를 충족하기 위해 제2공항을 짓는다고 하다가 제주공항이 포화돼 안전을 위해서는 제2공항을 지어야 한다고 말을 바꿨다”며 “안전을 강조하면서도 제2공항의 조류 충돌 위험성이 현 제주공항의 최대 8.3배가 된다는 국책연구기관 한국환경연구원(KEI)의 의견은 무시하면서 제2공항을 강행 추진했다”고 지적했다.
더불어 “국토부는 전략환경영향평가서에서 조류 충돌의 원인이 되는 양돈장, 과수원 등 조류유인시설을 국제항공민간기구 기준인 공항 예정지 외곽 8㎞보다 더 넓은 13㎞를 조사했다고 밝히고 있다”며 “마치 세계적 기준보다 엄격하게 검토한 것으로 포장하고 있으나 국제항공민간기구도 공항 반경 13㎞로 정하고 있다. 그 이유는 조류 충돌 사고의 약 99%가 공항 반경 13㎞에서 발생하기 때문”이라고 꼬집었다.
제주제2공항강행저지비상도민회의는 4일 오전 민주노총 제주지역본부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제주 제2공항 계획 전면 재검토를 촉구했다. ⓒ제주의소리 ⓒ제주의소리
도민회의는 “국토부가 현장조사에서 제외한 양식장은 제주의 대표적인 조류유인시설로, 어린 어류나 폐수 사료 찌꺼기를 먹으려 몰려드는 물고기를 잡기 위해 많은 새가 모이는 곳”이라며 “국토부는 범위 내 있는 양돈장 2곳에 대해 매입해 별도 시설로 활용하는 계획을 밝혔으나 제주의 대표적 조류유인시설인 양식장은 2곳밖에 없는 것으로 기술했다”고 날을 세웠다.
또 “국토부가 조사했다는 양식장은 해상 양식장으로 범위 내 있는 육상 양식장 78곳은 양식장이 아닌 어업시설로 기술하고 있다”며 “국토부는 양돈장 2개소 매입처럼 해소가 가능한 부분은 밝히지만 그렇지 않은 부분에 대해서는 영향을 축소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도민회의 환경조사위원회는 국토부가 감추려 하는 조류 서식지 피해와 안전 문제를 집중적으로 조사해 밝힐 계획”이라며 “국토부는 제2공항 계획을 전면 재검토해야 한다”고 거듭 촉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