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건·건설업체가 목 놓아 기다리는 제2공항 공군기지 사업

[우리는 우리의 노래를 부른다] 1. 김경훈 시인

지난 2019년 ‘제주작가’ 가을호(66호)의 특집 제목은 ‘제주, 환상을 겨누다’였다. 제주도 곳곳이 몸살을 앓고 있는 상황에 제2공항이라는 거대한 파괴 시나리오가 다가오자 제주작가회의 회원들은 사라질지도 모를 오름을 오르고, 벽시(壁詩)를 내걸었다. 그리고 제2공항을 반대하는 시를 모아 특집으로 삼았다. 시간이 흘러 결국 제2공항 기본계획이 고시됐다. 정부는 기어코 제2공항을 건설할 계획이다. 제주도가 파괴되고, 섬의 정체성이 흔들리는 것에는 아랑곳하지 않고 건설로 인한 경제적 이득만 노리고 있다, 산과 바다, 오름과 곶자왈 등 여기저기서 그치지 않는 기계음을 들어보라. 자연이 먼저 이 섬에 터를 잡았거늘 사람이 이 섬을 파괴하고 있다. 여러 개발로 마을공동체가 파괴되는 것을 우리는 너무 많이 목격했다. 우리는 방관자가 될 수 없다. 강정해군기지에 이어 제2공항의 갈등이 제주를 평화의섬이 아니라 갈등의 섬으로 만들고 있다. 시대를 반영하는 것은 이 섬에 살고 있는 우리 작가의 소임이다. 우리는 시를 릴레이로 연재하면서 우리의 노래를 부르고자 한다. / 제주작가회의

내로라하는 굴지의 토건기업이나 제주의 건설업체들 그리고 덤프트럭 포클레인 기사까지도 이 제주 제2공항 공군기지 건설사업을 목 놓아 기다리고 있지 않은가. / 사진=copilot

토건의 꿈
김경훈

토건이야말로
경제를 살리고 정치도 살리는 사업이다 
일찍이 미국의 뉴딜정책이 있었고 
이걸 박정희가 먼저 깨우쳤다
그리고 이명박이 따라 했다

토건은 정권의 젖과 꿀이다
여기서 권력이 나오고
여기서 실탄이 나온다
대권의 시작이 바로 여기 토건에 있고
토건이 정권을 만든다 

아무리 단식투쟁하고 천막농성하고
길거리 시위를 해도
이것은 절대 변할 수 없는
절대 멈출 수 없는 
절대지존의 사업이다

자 보라 내로라하는 굴지의 토건기업이나
제주의 건설업체들 그리고
덤프트럭 포클레인 기사까지도
이 제주 제2공항 공군기지 건설사업을 
목 놓아 기다리고 있지 않은가

그러나 과잉된 생산은 필연 공황을 낳는다 
공황은 전쟁을 예비한다
전쟁은 파괴와 동시에 건설의 토건을 부른다
토건은 죽지 않고 영원히 계속된다
이것이 토건 자본 영생의 꿈이다 

그러나 꿈 깨라 
계란이 바위를 뚫는다
단식투쟁이 토건의 댐에 균열을 낸다
천막농성이 토건의 철근을 뒤흔든다
길거리 시위가 토건의 도로를 점령한다

이 천박한 자본을 도려내는 것이 경제 민주화다
이 불의한 권력을 끌어내리는 것이 민주정치다 
이 예비된 공황과 전쟁을 방지하는 것이
이 토건의 영원한 자기 복제를 차단하는 것이 
이 토건을 당장 멈추게 하는 것이, 

이것이 평화다!

시작노트

토건에겐 예의라는 게 없다. 토건에겐 염치라는 게 없다. 토건에겐 반성이라는 게 없다. 토건에겐 양심이라는 게 없다. 토건에겐 상식이라는 게 없다. 토건에겐 공정이라는 게 없다. 지금 활개치고 있는 현 정부도 똑같다. 모두 인간이 아니라는데 의심의 여지가 없다. 인간이 아닌 것들이 있어야 할 곳은 이 땅 어느 구석에도 없다.

Previous
Previous

“도민 동의 없는 제주 제2공항 고시 무효” 반대측 투쟁 결의

Next
Next

“제주 제2공항=군사기지 섬” 제2공항 반대 예술행동 실천 선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