섬이 갈가리 찢겨나가도 신공항을 고집부리는 당신 누구신가?
[우리는 우리의 노래를 부른다] 4. 김광렬 시인
지난 2019년 ‘제주작가’ 가을호(66호)의 특집 제목은 ‘제주, 환상을 겨누다’였다. 제주도 곳곳이 몸살을 앓고 있는 상황에 제2공항이라는 거대한 파괴 시나리오가 다가오자 제주작가회의 회원들은 사라질지도 모를 오름을 오르고, 벽시(壁詩)를 내걸었다. 그리고 제2공항을 반대하는 시를 모아 특집으로 삼았다. 시간이 흘러 결국 제2공항 기본계획이 고시됐다. 정부는 기어코 제2공항을 건설할 계획이다. 제주도가 파괴되고, 섬의 정체성이 흔들리는 것에는 아랑곳하지 않고 건설로 인한 경제적 이득만 노리고 있다, 산과 바다, 오름과 곶자왈 등 여기저기서 그치지 않는 기계음을 들어보라. 자연이 먼저 이 섬에 터를 잡았거늘 사람이 이 섬을 파괴하고 있다. 여러 개발로 마을공동체가 파괴되는 것을 우리는 너무 많이 목격했다. 우리는 방관자가 될 수 없다. 강정해군기지에 이어 제2공항의 갈등이 제주를 평화의섬이 아니라 갈등의 섬으로 만들고 있다. 시대를 반영하는 것은 이 섬에 살고 있는 우리 작가의 소임이다. 우리는 시를 릴레이로 연재하면서 우리의 노래를 부르고자 한다. / 제주작가회의
제주 땅이 4.3처럼 갈가리 찢겨나가도 제주 신공항을 만들어야만 한다고 끝내 고집부리는 당신은 어느 먼 나라에서 온 누구신가?/ 사진=copilot
당신은 누구신가?
김광렬
왜 끝까지 그토록 집요한가?
잠잠하면 다시 날 선 칼을 꺼내든다
아름다운 정신과 정신들이
수십만의 진실한 입과 입들이
제주 신공항 건설을 반대하는데도
끝내 제주 자연을 해체해야
직성이 풀릴 모양이다
성산읍 신산 난산 온평 수산 성산
개발하는 일 아무것도 아니라고
손바닥 뒤집듯 쉬운 일이라고
땅을 갈아엎고 숲을 베어내는 것도
오름 허리를 두 동강 내는 것도
생태계를 교란시키는 것도
밭담을 깔아뭉개는 것도
고유의 문화유산을 파묻는 것도
용암동굴과 숨골을 파괴하는 것도
조상들이 오래 살아오고
그 후손들이 살고 있고 또 살아갈
정든 터전을 무너뜨리는 일도
결국은 자신의 손발을 자르고
눈과 귀와 혀를 뽑아내고
살점을 오려내고 뼈를 발라내고
숨통을 끊는 것과 다름없으므로
그것은 곧 당신 자신을
그곳에다 매장하는 슬프고 아픈 일,
새 공항을 만들겠다고
꽈르릉거리며 번쩍거리며
비행기를 날려 보내고야 말겠다고
벼르는 자들,
관광객 유치니 경제 활성화니
주변정세니 하는 명분들을 내세워
평화의 섬을
거대한 묘지로 만들려는 사람들,
그깟 섬 하나
지도에서 지워진들 무슨 대수인가
하고 오래전
어느 누군가는 말했다지,
당신의 몸 같은 영혼 같은
제주 땅이
4.3처럼 갈가리 찢겨나가도
제주 신공항을 만들어야만 한다고
끝내 고집부리는 당신은
어느 먼 나라에서 온 누구신가?
시작노트
그동안 제주를 너무 무분별하게 개발해왔다. 우리가 사랑하는 이 땅을 더 이상 개발에 넋 나간 사람들에게 바칠 수 없다. 제주 신공항 건설을 위해 개발은 불가피하다고 주장하지만, 머리를 맞대면 이를 극복하는 다른 묘안이 없지도 않을 것이다. 이 땅은 우리들 땅만이 아니라 뒤이어 올 후손들의 땅이기도 하다. 그들도 그 시대 상황에 알맞게, 이 땅을 긍정적인 방향에서 구상하고 설계하며 행복하게 살 권리가 있다. 어떤 명분으로든 그것을 빼앗아서는 안 된다. 일그러진 탐욕과 왜곡이 언젠가는 부메랑이 되어 돌아오고 말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