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행장이 뭐라고 비행장 짓겠다고 165만평을 죽이켄 허염수게

[우리는 우리의 노래를 부른다] 2. 김섬 시인

지난 2019년 ‘제주작가’ 가을호(66호)의 특집 제목은 ‘제주, 환상을 겨누다’였다. 제주도 곳곳이 몸살을 앓고 있는 상황에 제2공항이라는 거대한 파괴 시나리오가 다가오자 제주작가회의 회원들은 사라질지도 모를 오름을 오르고, 벽시(壁詩)를 내걸었다. 그리고 제2공항을 반대하는 시를 모아 특집으로 삼았다. 시간이 흘러 결국 제2공항 기본계획이 고시됐다. 정부는 기어코 제2공항을 건설할 계획이다. 제주도가 파괴되고, 섬의 정체성이 흔들리는 것에는 아랑곳하지 않고 건설로 인한 경제적 이득만 노리고 있다, 산과 바다, 오름과 곶자왈 등 여기저기서 그치지 않는 기계음을 들어보라. 자연이 먼저 이 섬에 터를 잡았거늘 사람이 이 섬을 파괴하고 있다. 여러 개발로 마을공동체가 파괴되는 것을 우리는 너무 많이 목격했다. 우리는 방관자가 될 수 없다. 강정해군기지에 이어 제2공항의 갈등이 제주를 평화의섬이 아니라 갈등의 섬으로 만들고 있다. 시대를 반영하는 것은 이 섬에 살고 있는 우리 작가의 소임이다. 우리는 시를 릴레이로 연재하면서 우리의 노래를 부르고자 한다. / 제주작가회의

관광객 숫자를 위허영 터주덜을 다 죽이켄 허염수게. / 사진=copilot

진안할망당* 애기 울음소리
김섬

설룬 애기
오죽 설러와시믄 밤새낭 응앙 응앙 
성담이 뭐렌 그거 짓으켄 애기를 죽여신고
쌓으민 무너지는 성담 안 쌓으민 그만이주
사름 살리젠 짓는 성담이 사름 잡아먹엇구나

설룬 애기
오죽 설러와시믄 밤새낭 응앙 응앙 
공출에 배고프곡 부역에 뽀사진 날덜
모진 고문추룩 놓아불고
제삿밥 혼 차롱**에 울음도 놓아불엇구나

수산초등학교를 둘러싼 성담 수산진성***
조잘대는 애기덜 소곱에 톡 들어앚안 
혼밤중 제삿밥으로 연명허시는 진안할마님 

빌엄수다 빌엄수다 부디 지켜줍서
무료 주택으로 아이덜 수 늘린 ‘가장 아름다운 학교’렌 허멍
비행기 소리로 덮어불켄 허염수게 비행장이 뭐라고 
비행장 짓겠다고 165만평을 죽이켄 허염수게

‘작은 학교 통합 정책’이렌 허멍 학교 문 닫으라는 으름장에도 잘 버티어수게
나라가 짓어준 학교가 아니우다 마을에 학교가 이서사 아이들 눈을 티운덴 
모을 사름덜이 십시일반 거두멍 부역허멍 짓은 학교우다
나라가 아이덜 밥 멕이지 안허여수다 선배 과수원 귤 판 돈으로 
아이덜 밥허여 멕인 최초의 무상 급식 학교우다

비행기 소리 꽁꽁 곱은 그윽헌 낭밧 소곱에서
애기 할마님 좋아허시는 제사상 받으멍 천년만년 살아사 허는
진안할마님신디 빌엄수다 부디 지켜줍서
“불편해서” “안전을 위해서” 또시 죽이고 또시 죽이켄 허염수게
관광객 숫자를 위허영 터주덜을 다 죽이켄 허염수게

밤새낭 울고정한 설룬 애기덜이 빌엄수다
부디 지켜주십서 부디 지켜주십서 

 

* 진안할망당 : 수산진성(수산초등학교) 안에 있는 조상신을 모시는 할망당. 수산진성을 쌓을 때, 관리의 공출 재촉에 시달리던 과부가 “저 우는 애기밖에 어시난 애기라도 데령가쿠과?” 홧김에 내질렀는데 그 후로 성이 자꾸 무너져 내렸다. 지나가던 스님이 “주겠다는 원숭이띠 아기를 왜 받아오지 않느냐?”는 말에 아기는 희생제물이 되었고 성은 지어졌다. 성이 지어진 후, 수산진성에서는 밤마다 아기 우는 소리가 들렸다. 마을 사람이 제사를 마치고 울음소리가 나는 곳에 음식을 갖다 바친 후에야 울음소리가 멈춰졌다. 그 아기를 수산진성 안 진안할망당에 모셔 정성을 올린다. 할망은 여신을 일컫는 제주어이다.

** 차롱 : 대나 싸리를 쪼개어 네모나게 결어 속이 깊숙하고 뚜껑이 있게 만들어 음식 따위를 넣는 그릇.

*** 수산진성 : 조선시대 제주도 방어 시설은 3성(제주목성, 정의현성, 대정현성), 9진(화북진, 조천진, 별방진, 애월진, 명월진, 수산진, 서귀진, 모슬진, 차귀진), 25봉수 38연대였는데, 수산진성은 9개의 진성 중 정의현에 속하는 진성이다. 수산초등학교를 빙 둘러진 채 지금도 남아있다.

시작 노트 

내 고향 성산포에 여러 마을을 깔아뭉개고, 생명수의 원천인 숨골들과 뭇 생명들을 죽이고, 10개의 오름을 깎아내 버리고 공항을 짓겠다는 날벼락이 떨어졌다. 강정 해군기지처럼 민을 가장한 군사공항이라고 한다. 고향 성산포와 더불어 제주의 앞날이 막막해졌다. 

어떻게든 그 일을 막아보려는 사람들이 사방에서 모여들었다, 시작점은 늘 수산초등학교다. 우선 진안할마님께 비념하고, 깎아버리겠다는 10개 오름을 번갈아 오르고 기록했다. 

분명히 도민들의 찬반투표에서 공항을 반대하는 도민이 과반수를 넘었다. 정부는 그 결과를 존중하겠노라 약속하였는데 다시 공항을 짓겠다고 움직이고 있다. 아니 물밑에서 계속 진행되어 왔다. 다시 눈앞이 캄캄해진다.

Previous
Previous

이어지는 제주 제2공항 반발 "필요성 없어, 기본계획 고시 철회"

Next
Next

“도민 동의 없는 제주 제2공항 고시 무효” 반대측 투쟁 결의